연애 vs. 솔로, 누가 더 행복할까?
“연애를 하면 더 행복할까?” 혹은 “솔로가 더 자유롭고 만족스러울까?”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하는 이 질문에 대해 심리학 연구들은 다양한 답을 내놓고 있습니다.
흔히 “연애를 하면 삶의 만족도가 올라간다”는 말을 많이 듣지만, 반대로 “혼자가 더 행복하다”는 주장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실제로 누가 더 행복할까요? 연애 중인 사람과 솔로의 행복도를 비교한 연구들은 어떤 결과를 보여줄까요?
연애 중인 사람들은 정말 더 행복할까?
연구에 따르면, 연애 중인 사람들은 솔로보다 삶의 만족도가 높을 가능성이 큽니다. 이는 연애가 단순히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하는 즐거움뿐만 아니라, 정서적 안정감, 사회적 지지, 공감과 친밀함이 결합된 경험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2014년 연구(Sandstrom & Dunn, 2014)에 따르면,
• 사회적 연결감이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핵심 요인으로 밝혀졌고,
• 연애 중인 사람들은 서로 깊은 유대감을 나누며, 정신적 안정과 스트레스 완화 효과를 경험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특히 연애가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이유는 아래 4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 정서적 안정감 – 심리적 안정과 신뢰를 주는 관계 속에서 스트레스가 줄어듦
✔️ 사회적 지원 – 어려운 순간에 기댈 수 있는 존재가 있다는 것만으로도 심리적 보호 효과
✔️ 공유된 경험 – 함께하는 목표와 계획이 삶의 의미를 부여
✔️ 우울감 감소 – 애정과 스킨십이 옥시토신(행복 호르몬) 분비를 촉진
그럼 결혼을 해도 행복할까?
2019년 하버드 성인발달 연구에 따르면, “가장 행복한 사람들은 돈이나 성공이 아니라 ‘좋은 인간관계’를 가진 사람들” 이었습니다. 이는 결혼이나 장기적인 연애 관계에서 오는 안정감이 장기적으로 행복과 정신 건강을 향상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면서, 결혼이 삶의 안정적인 행복에 중요하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그렇다면 솔로는 정말 덜 행복할까?
물론 솔로가 더 행복하다는 주장도 많습니다. “혼자가 자유롭다”, “연애 스트레스가 없다” 등의 이유로 솔로 생활을 즐기는 사람들도 많죠. 실제로 건강한 성격을 측정하는 TCI 검사에 따르면 스스로의 삶을 선택하고 목적을 향해 거침없이 나아가는 자율성은 행복에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로 밝혀져있습니다. 즉, 연애보다는 자기 자신에게 집중할 수 있는 돈이나 시간 확보에 솔로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
또 꼭 연인관계가 아니더라도 "약한 유대 관계의 힘" 만으로도 충분하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특히 낯선 사람과의 짧은 대화도 행복감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솔로를 지향한다면, 대신 가벼운 봉사단체나 취미, 독서 모임 등을 고려해보는 것도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서 2020년 연구에서는 “강한 사회적 네트워크를 가진 솔로는 연애 중인 사람들만큼이나 높은 행복도를 경험할 수 있다”고 합니다.
즉, 중요한 것은 ‘연애 유무’가 아니라 ‘사회적 연결감’
결혼, 연인관계, 그리고 솔로여도 소중한 사회적 관계 안에서 유대감을 경험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 사회적 연결 – 연애가 아니어도 좋은 친구, 가족, 커뮤니티와의 관계가 행복에 중요한 역할
✅ 자기결정감 – 내가 선택한 삶을 즐기는 것이 중요 (억지 연애도, 억지 솔로도 비효율적)
✅ 심리적 안정감 – 혼자든, 함께든 자신이 정서적으로 안정적인 상태인지가 핵심
✅ 삶의 목표와 의미 – 자신의 삶에 의미를 부여하는 활동(일, 취미, 봉사 등)이 행복도를 결정
📖 연구 참고문헌:
• Sandstrom, G. M., & Dunn, E. W. (2014). Social interactions and well-being: The surprising power of weak ti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40(7), 910-922.
• Waldinger, R. J., & Schulz, M. S. (2019). What makes a good life? Lessons from the longest study on happiness. Harvard Study of Adult Development.
• Ma, J. (2020). The well-being of single individuals: A meta-analysis of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37(6), 1234-1256.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독 쩝쩝거리는 소리가 거슬리고 화가 난다면? 예민한게 아니다. (0) | 2025.02.21 |
---|---|
육아 vs 일, 누가 더 힘들까? 심리 연구 결과의 선택은? (0) | 2025.02.19 |
거절당했을 때 왜 이렇게 아플까? 뇌 과학이 알려주는 놀라운 비밀 (0) | 2025.02.13 |
당신의 기분 변화, 생체 시계 때문일지도 모릅니다. (0) | 2025.02.10 |
눈물을 흘리면 진짜 개운해지는게 맞나? (0) | 2025.02.07 |